로지컬씽킹 - 1.상대에게 메시지전달하기
31 Dec 2021상대방이 잘 이해하도록 메시지를 전달하기

상대에게 전달할 메시지는 무엇인가?
글을 쓰기 전에 확인할것 2가지
✓ 확인하기1. 과제를 확인한다
- 어떤 주제에 대해 보고/회의 하기로 했다면, 상대방에게 대답할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한다
#ex
- '상황': 서비스에서 사용중인 'log4j 라이브러리'에 보안 이슈가 생겨, 다음회의때까지 해결책을 준비해오기로 함.
해결을 위해 코드를 살펴보니, 잠재적 장애요소를 발견함.
- '행동': 다음회의때 약속된 과제인 '해결책에' 대해 다뤄야 함. 약속된 해결책 공유를 마친 뒤 장애요소를 언급하거나, 장애요소가 더 급하다면 별도 긴급회의를 잡자
✓ 확인하기2. 상대에게 기대하는 반응을 되짚어본다
- 전달할 메시지를 설명했을때 상대방이 보이길 바라는 반응을 가늠해보고, 회의에 임하자. 어떤 반응이 필요한지에 따라 설명의 깊이와 폭이 달라진다.
#ex
1. 코드리뷰시 새로 추가된 기능을 상대방에게 '이해시킨다.'
2. A/B테스트의 결과를 공유하고, 상대방의 '의견/감상 등을 피드백 받는다.'
3. DB 버전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설명하여, '팀원들이 행동하게 한다.'
무엇을 말해야 답변이 되는가?
글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
✓ 답변의 요소
- 결론: 설명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한 핵심
- 근거: 결론에 이르게 된 타당성을 상대가 이해하는데 필요함
- 방법: 결론으로 행동(action)이 필요하다면,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야함
#ex
1. 결론: log4j 라이브러리에 보안이슈가 있어,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함
2. 근거: log4j 보안 이슈 공식문건, 현재 서비스에 적용된 버전이 보안이슈에 해당된다는 사실 전달
3. 방법: 버전 업그레이드 방법 & 부작용(side effect) 가능성 공유
메시지 전달에 문제가 생겼을때

왜 상대가 자신의 답변을 이해하지 못하는가?
상대가 결론, 근거, 방법이 명쾌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
결론이 잘 전달됐는지 확인하자
✓ 체크할것 1. 결론은 과제에 대한 답변의 요약이지, 하고싶은 말의 요약이 아니다
- 상대방이 결론을 이해하지 못하면, 해당 커뮤니케이션은 실패다
- 어떤 결론에 이르렀다면, 한번 더 과제를 확인한다.
ㄴ 결론이 단순 내용의 요약은 아닌지
ㄴ 결론이 과제의 답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지 - 업무가 진행될수록 작업자는 조사과정에서 다양한 정보를 접하게 되고, 이에따라 전달하고 싶은 내용이 점점 늘어남을 주의해야한다
#ex
- '상황': 개발자 A는 'log4j를 대체할 라이브러리를 선정해 보고하기로 함.' A가 살펴보니 log4j를 변경할때 주의할 점이 상당히 많았고, 주의점들을 간결히 정리하여 보고하였다
- '대응': 이 상황에 필요한 답변은 'log4j를 대체할 라이브러리' 이기에 '주의점'은 결론 도출에 필요하지만, 결론 그 자체는 될 수 없다.
✓ 체크할것 2. ‘상황에 따라서’, ‘경우에 따라서’ 라는 말을 주의하라. 부대조건은 동상이몽의 원인이다
- ‘상황에 따라서’, ‘경우에 따라서’라는 표현을 줄이는것이 좋다
- 필요하다면, ‘상황’ 에 따라 바뀌는 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주는것이 커뮤니케이션에 오해를 줄일 수 있다
- 이런 단어 사용법은, 사람마다 다른 행동을 하게 만들 수 있다
#ex
- '오답사례': 결제 API 사용시 초당 요청개수(tps)를 10만회까지 허용하지만 사용자가 많을땐 tps를 줄여 사용한다
- '모범사례': 결제 API 사용시 11~13시에는 사용자가 많으니 초당 요청개수(tps)를 1,000회 이하로 제한하여 사용하고, 그 외 시간에는 10만회까지 허용함
충분한 근거가 필요하다
✓ 오류1. ‘A가 필요하다. 왜냐하면 A가 없기때문이다’ 라는 식의 근거는 불충분하며, 많이 발생하는 오류이다
✓ 오류2. 듣는사람이 근거를 ‘사실인지? 가설인지?’ 라고 궁금해하는 순간 문서의 신빙성이 떨어진다
ㄴ 근거나 사실에 기반한다면, 사실자료가 필요. 가설에 기반한다면, 가설의 배경이 되는 사실자료가 필요
✓ 오류3. ‘말할것도 없이 A다’, ‘당연하다’ 라고 생각하는건 말하는사람뿐
ㄴ 어떠한 기준에서 판단한 결론인지 명확해야한다
#ex
- '오답사례': log4j버전이 오래되었기 때문에, -당연히-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한다
- '모범사례': 현재 사용중인 log4j버전은 xx공식자료에 따르면 보안취약점이 보고되었으니, 최신(2.x.x)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한다.
처음 설정한 과제의 답변이 아닌, 다른 내용을 전달하고 싶다면?
- 과제의 방향을 아예 바꾸어야해서 현재 설정한 과제의 답변이 쓸모가 없다면?
- (현재 과제의 답변) + (내가 알게된 방향성)을 제시한다
- 또는, 최대한 빠르게 회의를 재소집하여 과제를 재설정해야한다. 이때는 타이밍이 매우 중요하다.
방법이 전달되지 않을 때의 두 가지 함정
방법이 실행되지 못하고 구체적이지 않은것 같을땐, 아래의 함정을 확인해야한다.
함정1. 어느 회사 또는 10년 전에도 통했을법한 ‘공리’는 사람을 움직이지 못한다.
- 교과서에나 써있을법한 보편적 진리는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제시하지는 못한다.
- 만약 구체적이지 못한 기획이 있다면, 본인이 이해한 구체적인 방식을 다시 문의해야함
- 10년 후에도 통용될까? 자문자답을 해보자
문서 읽는 좋은 습관
- 문서를 읽을때 문서의 ‘목적’과 함께 작성자가 당신에게 어떤 반응을 기대하고 있는지 파악한 뒤 읽는 습관을 들여라
- 문서의 작성목적 & 기대하는 반응을 알 수 없다면, 물어보라. 무슨 목적으로 보냈는지, 무엇을 하길 바라는지 확인해야한다.
상대가 반드시 이메일을 열어보게 하려면
- 제목에 목적을 명시해야한다
- ex. oo에 대해 검토 부탁드립니다